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풍경/율포앞바다를 기록하다

장흥 수문에 있는 굴구이집

지난 연말, 군대가 있는 아들을 빼고

오랜만에 가족이 다 모였다.

가을 끝무렵 소휴당에서 고구마를 캐고 간 큰 딸아이가

일주일이나 몸살감기로 아팠기에 소휴당에 오는 게 다소 걱정이 되었다.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드니

소휴당의 찬바람을 견디지 못하고 자고 일어나면

컨디션이 안 좋을 때가 있다

너무 건조하기도 하고, 단열을 한다고 했지만

바닥은 지글거리고 공기는 찬 전형적인 주택의 형태를 보이는지라

이번에 딸아이 또 아프면 어쩌나...걱정이 되었다.


자취살림하는 아이들, 서울살이에 변변히 먹지도 못했을터라 여기 내려오면

먹고싶다는 것 원없이 사주는 편인데 이번에 딸아이가 주문한건

바로 "굴구이"


기억이란, 입맛이란?,

참 놀랍고도 신기하다.

굴구이는 오래전 내가 섬에서 근무할 때 몇 번 먹어본 것이 기억의 전부다.

이후 아파트 생활하면서 굴구이 해 먹는 일 한번도 없었는데

겨울이 되면 먹을 것 없던 섬에서 특별한 즐거움을 주던 기억으로

굴구이를 이야기한다.

불과 열 살 무렵의 기억인데 말이다.


 회천에서 2년 반 근무하는 동안 굴구이를 먹으러 간 기억은 없다.

낙지도, 회도, 매운탕도, 두부전골도, 짜장면도 맛좋은 거 웬만한 건 다 있는데

굴구이는 없다.

지인이 추천해 준 장흥의 <은희네 굴구이> 까지 가려고 보니

40분이나 걸린다.

거기까지 가기 싫다는 남편,

굴구이가 꼭 먹고 싶다는 딸.

겨우 옆지기를 설득하여 길을 잡고 가는데 가는 동안에도 투덜거림이 계속된다.

그랬는데 채 십분도 운전해오지 않은 수문 가는 길에

길가에 내걸린 굴구이 현수막을 보았다(역시 눈이 보배!)

이름하여 장흥 수문에 위치한 <용곡 하우스>

결론적으로 좋았다.

자리도 넓고 부모님과 아들 부부가 운영하여 친절하고 깨끗했다.


 


 

푸짐한 한 솥이 35,000원 싱싱하고 맛있었다.


 굴구이가 나오기 전 우리 가족은 이미 낙지 탕탕이 한 접시를 비웠다.

낙지는 싯가대로

현재는 한 접시에 5만원


 

 

다 먹고 나면 매생이굴떡국, 떡라면을 시켜먹을 수 있다.

가까운 곳에 이리 좋은 곳이 있었는데 몰랐다.

겨울에는 영양 만점, 굴구이를 먹어볼 일이다.

소휴당에 오는 겨울 손님은 무조건 굴구이 집으로 모셔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