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 교수의 '나의문화유산답사기' 제 1권에서 유교수는 남도답사일번지로 강진과 해남을 꼽고 있다.
김영랑을 강진사람들이 기리는 마음을 끔찍하다. 읍내로 들어가는 입구를 영랑로터리라고 이름 붙이고 영랑동상도 세워놓았다. 그러나 강진 땅이 나의 '남도답사 일번지'로 올라온 것은 다산 정약용의 18년 유배지가 여기였고, 여기에서 그의 학문이 결실을 맺게 되었고, 여기에서 그의 숱한 저술, 저 유명한 <목민심서>가 집필되었기 때문이다. 다산의 유배지를 답사하는 사람들은 곧잘 다산초당으로 직행하는데 사실 그분의 강진 유배처는 네번 옮겨졌다.
나는 가경 신유년(1801) 겨울에 강진에 도착하여 동문 밖 주막집에 우거하였다. 을축년(1805) 겨울에는 보은산방에서 기식하였고, 병인년(1806)가을에는 학래의 집에 이사가 있다가, 무진년(1808) 봄에야 다산에서 살았으니 통계하여 유배지에서 있었던 것이 18년인데, 읍내에서 살았던 게 8년이고, 다산에서 살았던 것이 11년 째였다. 처음 왔을 때에는 백성들이 모두 겁을 먹고 문을 부수고 담을 무너뜨리고 달아나며 편안히 만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다산신계 중에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권, 56쪽에서 발췌)
지난 여름방학 기간 마침 보성에 와 있던 언니와 함께 퇴근 후 올랐던 다산초당을 여름이 가고 겨울이 바로 코 앞인 오늘에야 기록으로 남긴다. ㅎㅎ
다산기념관에 차를 두고 다산초당 가는 길.
옆으로 펼쳐진 나무가 그늘을 깊게 만들어 한여름인데 그리 더운 줄 모르겠다.
다산초당이 보인다. 지적이면서 감성적이기까지 한 유교수님만큼 설명을 잘 할 자신이 없어서 그 책의 내용을 옮겨보겠다.
여기서 잠시 한 호흡 돌리고 다시 가파른 길을 오르면 이내 다산초당이 보인다. 이름은 초당이라고 하였건만 정면 5탄, 측면 2칸의 팔작기와 지붕으로 툇마루가 넓고 길며 방도 큼직하여 도저히 유배객이 살던 집 같지가 않다. 나도 본 일이 없지만 실제로 이 집은 조그만 초당이었다고 한다. 그것이 무너져 폐가로 된 것을 1958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이처럼 번듯하게 지어놓은 것이다. 다산을 기리는 마음에서 살아 생전의 오막살이를 헐고 큰 집을 지어드린 것이라고 치부해보고도 싶지만, 도무지 이 좁은 공간에 어울리지 않는 크기여서 그것이 못마땅하다. 더군다나 예비 지식없이 온 사람들은 유배객 팔자가 늘어졌다는 생각만 갖고 가니 이것은 허구 중의 허구다.
다산초당의 툇마루에 앉아보았다. 남향집이건만 동백숲과 잡목이 우거져 한낮인데도 컴컴하고 앞에 보이는 것이 없다. 단지 뜰 앞에 넓적한 돌이 하나 있고 왼쪽에 연못이 있는데 이것은 초당 오른쪽 바위에 새겨놓은 ;정석'과 함께 정약용 유배 시절의 진짜 유적인 것이다. 다음 글은 다산이 묘사한 유배지의 모습이다.
무진년 봄에 다산으로 거쳐를 옮겼다. 축대를 쌓고 연못을 파기도 하고 꽃나무를 벌여 심고 물을 끌어다 푹포를 만들기도 했다. 동서로 두 암을 마련하고 장서 천여권을 쌓아두고 저서로써 스스로 즐겼다. 다산은 만덕산의 서쪽에 위치한 곳인데 처사 윤단의 산정이다. 석벽에 '정석'두 자를 새겼다.(위 책 61쪽 발췌)
함께 여행간 언니...쉬는 중
'보정산방'이란 현판 글씨는 추사 김정희가 예서를 변형시켜 쓴 글씨라고 한다. 현판은 추사체의 멋이 한껏 풍기는 명작이다. 이 현판은 다산의 제자인 청전 이학래가 추사에게 부탁하여 받은 작품을 나무에 새긴 것이다.
정약용을 보배롭게 모시는 산방이라는 뜻으로 다산의 제자됨을 가리킨다. 추사는 자신의 호를 100여가지로 두루 쓰는 가운데 '보담재'라고도 했다. 이는 자신이 스승으로 모신 청나라 학자 담계 용방강을 보배롭게 생각한다는 뜻인데 옹방강은 또 소동파를 보배롭게 모시는 뜻에서 그 서재를 '보소재'라고 했으니 그렇게 연결되는 내용이다.
한국 지성사의 두 거장인 다산과 추사의 관계는 참으로 아름다운 것이었다. 추사는 정약용보다 24세 연하로 다산의 아들인 정학연, 정학유 형제와 친구로 지냈으니 한 세대 아래인 셈이다. 추사의 문집에는 정약용에게 경학의 가르침을 구하면서 대드는 듯한 편지가 두 통 실려 있어 간혹 추사가 다산을 존경하지 않았던 것처럼 생각하는 이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장년 시절 기고만장했던 추사의 학문적 열정이 그렇게 나타난 것일 뿐 추사가 다산을 존경하고 사모하였는가는 다산이 지은 '수선화'라는 시에 잘 나타나 있다.
신성의 풍채나 도사의 골격 같은 수선화가
30년 만에 또 나의 집에 이르렀다.
예적엔 복암 이기양이 사신길에 가지고 온 것이 있었는데
지금은 추사 김정희가 대동강가 관아에서 보내주었다네.
외딴 마을 동떨어진 골짝에서는 보기 드문 것이라서
일찍이 없었던 것이기에 다투어 구경하며 떠들썩하네.
손주녀석은 처음엔 억센 부춧잎 같다고 하고
어린 여종은 도리어 마늘이 일찍 싹튼 것이라며 놀란다.(위 책 66쪽에서 발췌)
구경하고 있는데 늦은 탓인지 모기떼가 극성이다. 어둡고 습하여 더 기승이다. 한바탕 모기떼에게 적선을 한 후 구강포가 바라보이는 천일각에 올랐다. 강진만을 내려다보는 시원스런 전망이 좋다.
지난 여름 다녀온 것을 이제야 정리하는 게으름을 부리지만 위당 정인보 선생이 '다산 선생 연구가 바로 조선사의 연구요, 조선 성쇠존망에 대한 연구'라고 치하하던 그 분의 만 분의 일이라도 떠올릴 수 있다면 보람있지 아니한가?
'일상의 풍경 > 발길이 머무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성여행> 작고 소박하지만 압화 잘하는 자명스님이 사는 연왕사 (0) | 2015.11.24 |
---|---|
<서울여행> 남산의 추억 (0) | 2015.11.23 |
<경주여행> 낮보다 밤이 더 이쁜 동궁과 월지 (0) | 2015.11.23 |
<장흥여행> 장흥 수문 안단테리조트 체험기 (0) | 2015.08.06 |
<여수여행> 대한민국행복학교박람회를 다녀와서(2015.7.17) (0) | 2015.08.04 |